2007년 3월 31일
이 포스터의 모델의 정체는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의 킬리언 머피. 많은 분들의 표현을 빌어 '미치고 예쁜애'. 김혜리 기자의 표현을 빌면 '얼려놓은 파란 칵테일 같은 눈을 가진 애.' 아아 너무 예쁜 거 아니냐고요... (이포스터는 결코 메인은 되지 못하겠지만 서브 포스터로 열광적인 지지를 받을 것이다.) 원래 도전적으로 필모그래피를 꾸려나가는배우들을 매우 사랑한다. 킬리언 머피도 그런 배우 중 하나다.
국내에서 <플루토에서 아침을>이 개봉할 줄은 몰랐다. (그것도 예쁘게 한국어 제목을 달고!!) 2년 전엔가사장님이 검토해보라고 던져준 파일 뭉치 속에 이 영화가 있었지만 장사가 될 거 같진 않아서 눈물을 머금고 패스를 했었다. 지금도그 판단은 변함이 없다. (사실 킬리언 머피보다 '닐 조던'이라는 이름과 그의 페르소나인 스테판 리아의 이름에 가장 먼저 눈이갔고 그 다음 '리엄 니슨'에 눈이 갔는데, 당시 Asking Price가 내가 생각한 적정가보다 아주 높은 편이었다.) 다만가끔씩은 내 취향의 영화를 돈 걱정 많이 않고 살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여전히 한다. 작은 돈에 사서, 큰 이익 기대않고 작게 푸는 걸 계속 안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시스템 말이다. 사실은 그 때문에, 모두들 한국영화로 우우 몰려가는데도 나는꿋꿋이 "외화하고 싶어! 아무리 남들이 영화인이 아니라 그냥 업자 취급을 한다 해도 외화하고 싶어!"를 외치며 이제껏남아있었다만.
최근 그런 모델로 스폰지가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고들 하며 다들 '조성규 모델'을 외치고 있는데, 그런 조성규 대표도 사실요 1, 2년 새에 눈부신 성과를 이뤄서 그렇지 모르긴 몰라도 오랫동안 여기저기 깔아둔 빚이 장난이 아닐 것이다. 계속해서라이브러리를 확보하면서 발빠르게 스폰지하우스를 치고 나간 것이 주효했다고 본다. 조성규 모델이 바로 내가 7, 8년 전부터꿈꿔왔던 것과 굉장히 비슷한데, 내 사회성은 참으로 형편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실현 가망성은 희박해 보이지만, 그래도 결코 버릴수 없는 꿈이다.
소규모 외화수입사들이 회사의 브랜드를 살려가며 자신만의 색을 가지고 외화들을 수입하려는 노력들, 그리고 소극장에서단관개봉이라도 하려는 노력이 그래도 계속되고 있고, 이런 노력들을 매우 소중하게 생각해서 되도록이면 극장에서 한번씩 꼭 보려고노력하고 있다. 스폰지하우스, 미로스페이스, 씨네큐브광화문, 하이퍼텍나다가 그런 노력을 하는 소극장들이고, 유레카픽쳐스,스폰지, 백두대간, 코랄픽쳐스 등이 그런 소중한 노력을 해주고 있는 수입사들이고(특히 유레카픽쳐스의 영화보는 안목은 놀랍다.아직은 성장이 더딘 듯하지만 발전을 기원해본다.), 이런 영화들을 역시 유레카픽쳐스, 백두대간, 프라임엔터테인먼트, 영화사진진, 프리비젼엔터테인먼트 등이 배급의 영역에서 노력을 많이 하고 있는 배급사들이다. 사실 유레카, 백두대간, 진진 등은 전문배급사라기보다는 자사 수입작들을 직접 배급하는 회사들이다. 또한 프라임은 시네마서비스 / 롯데급으로 급성장을 꾀하고 있는자본력이 매우 큰 회사로 돈많은 건설회사를 모기업으로 두고 있다. (즉 2, 3년 내에 대규모 배급사가 될 회사. 테크노마트시공한 건설회사가 바로 프라임. 그때 가면 대자본 배급사 특유의 '횡포'를 부릴 회사가 되어있을지도 모른다.) 마블이 나름 회사브랜드를 갖고 꾸준히 좋은 영화를 수입해 배급하는 회사로 성장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어째 남 얘기하듯...)
한국의 영화산업은 너무나 빠른 속도로 홱홱 변하고 있어서 빈약하나마 영진위의 통계자료를 들여다보는 게 나름 꽤 재미를선사한다. 작은 영화들이 상영될 수 있는 스크린 수가 좀더 많아져야 재미있을텐데, 최근 상정된 스크린 수 제한 법안이 과연향방이 어떻게 될지, 효과가 어떨지 매우 관심이 가는 대목.
'상벌중앙조정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루셔니스트>, `예술 - 테크네와 프시케 사이` <영진공 71호> (0) | 2007.04.02 |
---|---|
<프레스티지>, `우리가 마술을 보면서 바라는 게 뭘까?` <영진공 71호> (0) | 2007.04.01 |
<하얀 거탑>, `봉건적인 배려` <영진공 71호> (0) | 2007.03.30 |
<한니발 라이징>, `이유야 어찌되었든 우리는 매력과 공포로 점철된 캐릭터 하나를 잃어버린 듯하다.` <영진공 71호> (0) | 2007.03.29 |
<300>, `용사여 네 무덤에 경의를 표하지만 ...` <영진공 71호> (0) | 2007.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