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3월 4일
창세기의 아브라함의 이야기(사라를 여동생이라고 속였다가 왕에게 빼앗기고 되찾는 이야기)를 모티브로 삼은 <천국의나날들>은, 현대의 미국(아마도 대공황 시기)을 배경으로 날품팔이로 떠돌 수밖에 없는 남자와 여자, 그리고 아직 어린그들의 자식같은 동생의 여정을 따라간다. 도시 빈민들이 대단위로 집없이 떠돌며 하루의 빵을 위해 일을 하고, 대농장엔 떠돌이일꾼들이 한철노동을 하고 또 이동을 한다. 창세기의 이야기가 고대사회에서 결혼이라는 제도에서의 여러 규칙과 금기를 강조하는교훈적 기능을 한다면, 현대, 특히 근대 자본주의가 전세계적인 위기를 맞았을 때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는 가진자와 그렇지 않은자의 대립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그러나 테렌스 맬릭은 <천국의 나날들>을, 단순히 한 여자를 두고 "뺏으려는" 탐욕스러운 대지주와 "뺏길수밖에" 없는 착한 빈민노동자의 도식적인 대립을 다룬 영화로 만들지 않았다. 오히려 테렌스 맬릭은 이들의 신분과 계급과 존재의본질마저 갈라버리는 '소유'라는 것이 대상으로 하는 것, 즉 땅과 자연이 가진 본질에 주목한다. 그리고 여자를 욕망하는 두 남성- 농장주(샘 셰퍼드)와 빌(리처드 기어) - 의 공통적 속성을 끄집어낸다. '사랑'과 '결혼 제도'를 통해 여자를 소유하려는남자들의 욕망은 소유와 독점욕과 경쟁과 질투로 분출된다. 자연을 여성에 비유하는 것은 아주 오래된 상투적인 상징이지만, 인간에게곡식과 쉴 곳과 풍경을 제공하면서 계급을 가르고는, 이를 다시 비웃기라도 하듯 모진 재앙을 안겨버리는 자연은 인간이 결코 정복할수도, 소유할 수도 없는 대상이다. 희망없이 부유하는 삶에 살아갈 이유와 힘, 그리고 웃음과 쾌락을 주는 여인 - 애비(브룩애덤스)의 존재는, 두 남자 사이에서 위태한 긴장을 만드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자면, 이러한 긴장과 재앙을 만들어내는 것은 대상이 아니라, 대상을 욕망하는 주체들의 선택이다. 메뚜기재앙이 과연 아무짓 안 한 인간에게 어쩌다 찾아온 자연의 재앙일까? 조용히 자기 삶을 사는 남자들을 여자가 휘저어 놓으며 악의구렁텅이로 빠뜨렸단 말인가? 아니, 우리는 또렷한 이유를 말할 수 없을 뿐이다. 그리하여 행복 속에서 장차 다가올(지도 모르는)재앙을 두려워 하며, 마음을 놓고 있는 순간 마치 뒷통수를 때리듯 재앙이 혹은 변화가 찾아왔을 때 그 앞에서 당황하고 절망하면서결국 무너져 버리거나, 다시 일어나 맞서서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선택을 할 뿐이다. 우리는 주저앉아 그러한 재앙을, 변화를원망하고 마음아파할지언정 그 대상 자체를 부정하거나 버리거나 떠날 수는 없다. 떠났다가도 되돌아올 수밖에 없고, 그것이 옳은방식이건 아니건 욕망할 수밖에 없으며, 그 품에 다시 안길 수 있기를 희망할 뿐이다. 그리고 그 품이 주는 때때로의 행복에감사할 수 있을 따름이다.
그리하여 매직아워 때의 촬영을 고집했다는 테렌스 맬릭이 네스토 알멘드로스의 카메라와 손과 눈을 빌어 그려내는 초원의,들판의 황금빛과 해저무는 하늘빛, 그 하늘에 물든 구름은 극도로 아름다울 수밖에 없고, 심지어 메뚜기 떼가 덮쳤을 때조차 황금빛화염이 불타는 한밤중의 밀밭에서 실루엣으로 움직이는 인간들의 사투 장면도 장엄할 수밖에 없다. 누더기를 입었든 결이 촘촘한 고운쉬폰 드레스를 입었든 애비가 아름다울 수밖에 없는 것처럼. 그리고 그 전투를 안팎으로 목격한 린다(린다 맨츠)는, 농장에서의생활을 '한철 잘 논 것'으로 여기고, 문명을 체계적으로 학습시키는 '학교'를 떠나 다시 방랑의 길에 오른다. 부모도 아닌오빠/언니의 세대와 연이 단절된 채, 끝없이 남자를 사랑하고 의지하고 그에게서 버림받는 친구와 함께.
과거사진상규명위 상임간사
노바리(invinoveritas@hanmir.com)
'과거사진상규명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금련 (0) | 2007.05.02 |
---|---|
내 인생의 일본 드라마 <영진공 70호> (0) | 2007.03.20 |
장-피에르 멜빌, <그림자 군단> <영진공 69호> (0) | 2007.02.26 |
<自殺サ-クル (자살클럽)> <영진공 68호> (0) | 2007.02.04 |
르네 클레망, <태양은 가득히>,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영진공 67호> (0) | 2007.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