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인력관리공단
2006년 12월 28일

User inserted image

사이드 무나 감독

동지이자 친구였던 '이주노동자 자히드'가 '다큐멘터리 감독 사이드 무나'가 되어 돌아왔다. 이주노동영화제에서 상도 탔다는그의 영화 <21세기>를, 나는 어제 후원의 밤에 가서야 봤다. 현재 방글라데시에 큰 이익을 안겨주고 있다는의류산업의 장에서, 전체의 약 80%인 여성노동자들은 한달 겨우 1,000 ~ 1,500 다카(약 2만원)를 받고 일한다.1인당 최저생활비가 3,000다카는 필요한 상황에서. 아침 8시부터 밤 12시, 어떨 땐 새벽 2, 3시까지 일을 하고 돌아와,새벽 4시부터 화장실에 줄을 서서 물을 받아 식사준비를 하거나 씻고서 출근하고, 시간 외 수당은 전혀 받지 못하고 있으며,심지어 일하는 동안 문을 밖에서 잠그기도 하고, 중간 관리직인 남성 노동자들과 고용주에게 일상적으로 성폭력에 노출돼 있는 아주열악한 상황. 그 안에서 방글라데시의 의류노동자들은, 스스로 모여 스스로를 조직하고 투쟁에 나섰다. <21세기>는감독의 개입이 전혀 없이(그 흔한 내레이션이 한 줄도 없다.)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쌩으로' 그대로 전하며 이들의 상황을,그리고 고조되는 투쟁에의 의지를 '스스로 카메라에 대고 고발 / 고백'하게 하는 데에 그 진짜 미덕이 있다. 비록 짧은러닝타임과 조금은 서툰 구성일지라도, 그 구체적인 지리적 장소가 방글라데시의 의류산업 공장이었을 뿐, 한 나라의 중추적 산업에있어 정부-자본의 합동작전 하에 육체노동을 담당하는 여성 노동자가 처하게 되는 상황은 고스란히 드러난다. 그건 어느 나라, 어느산업에서도 같다. 우리나라에선 바로 6, 70년대 청계천으로 대변되는 의류산업이 그랬고, 이젠 서비스산업으로 옮겨갔을 뿐,그리고 민주화 투쟁을 통해 착취/억압의 방식이 조금 더 세련돼졌을 뿐.

접은 부분은, 영화상영 후 감독-관객 간 대화


ps 1. 자히드 씨가 긴급히 16일 귀국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그와의 만남은 어제가 당분간 마지막이 되었다. 악수와포옹을 나누며 그가 눈물을 흘렸다. 그가 한국에서 추방되었을 때와 달리 나는 울지 않았다. 한국에 있을 때의 그는 언제나 어딘가불안하고 지친 모습이었지만, 미디어 활동가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인 지금의 사이드 무나는 자신감 있고 안정적으로 보인다. 그것으로좋다. Take yourself, comrade.

ps 2. 사이나 무나가 속한 미디어 집단 "Break Through"는 현재 편집 컴퓨터는커녕 카메라도 없어 활동이 힘든상황이다. 이 상황에 연대하기 위해(까놓고 말하면 카메라를 비롯한 영상장비 조달을 위해) 팀이 꾸려졌다. 자세한 내용은 브레이크 쓰루 블로그를 참조하시라.(후원금 내시란 얘기다.)


산업인력관리공단 조사1부 부장
노바리(invinoveritas@hanmir.com)
Posted by Nowhere_M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