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어릴 적에는대중문화를 즐기는 것 그 자체가 뭔가 부의 상징처럼 보였을 정도였는데, 그건 우리집이 흔히 말하듯 밥 걱정을 겨우 면할 정도로 가난했던지라 그 흔한 라디오 한 대도 없었고, (아버지가 어딘가에서 줏어와서 고친) 작고 볼품없던 단 한 대의 TV 채널권은 언제나 할머니의 손아귀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음악과 영화는 나보단 좀더 살 만한 집 애들이 가진 것이었다. 당연히 더욱 고립되고 소외되고. 어머니가 교육에 한이 맺혀서 아들이 아닌 딸자식이라도 공부 잘 하는 넘은 대학 보낸다는 굳은 결심이 없었다면, 그에 걸맞게 어릴 적부터 질나쁜 버전이나마 책을 잔뜩 들여주지 않았다면 나는 지금 어디서 무얼 하고 있었을까.
난 너무나 일찌감치부터, 부자는 아니지만 라디오 한 대는 갖고 있었을 법한, 혹은 문화적인 세례를 받은 오빠나 언니를 두어 덤으로 그 세례를 받을 수 있었던 아이들마저도 나와 다른 처지의 아이들로 두고 경계했고, 그 대가를 나이를 들고나서 치르기 시작했다.
도스토예프스키 지침서를 옆에 두어가며 [죄와 벌]을 읽는 크리스의 모습은 바로 내 모습이다.
영국에서야 락과 영화는 서민문화를, 클래식과 오페라와 문학이 고급문화를 상징할지 몰라도, 대한민국에선 락과 영화, 특히 예술영화가 바로 지식인 문화의 표상이 아니던가.
딱 대학을 다니기 시작하면서, 나는 마침 당시 발간됐던 '키노'를 옆에 두고 영화를 보았고, 이를 매개로 만난 인간들이 걸작이라 혹은 천재라 떠들어대는 락앨범과 락밴드의 이름을 몰래 잘 기억해 두었다가 테이프로 하나씩 사 모으며 음악을 들었다.
21세기에 영화가 이토록이나 히트를 치는 대중문화의 총아로 떠오를 줄은 당시엔 몰랐지만. 이런 까닭에, 게다가 이제는 여자가 아닌 남자 주인공에게 감정이입하는 방법을 알고 있기 때문에, 나는 크리스의 모든 행동이 이해가 갔고, 심지어 계급상승을 욕망하며 윤리적으로 타락해가는 그 숱한 영화와 드라마의 그 흔한 주인공들처럼 크리스가 멍청하고 얕은 놈이 결코 아닌 것에 안도했다. 심지어는 내 자신에게 스스로 놀라면서도, 그의 범죄가 결코 들키지 않기를 바랐을 정도였다.
영화의 설정과 줄거리는 우리가 너무나 식상하게 보고 보고 또 보아온 것이다. 하지만 깊이가 다르다. 사람들이 흔하게 예상하는 서투른 윤리적 훈계와 설교도 집어넣지 않는다. 너무나 냉정하고, 그러면서도 아프다. 기본적으로 영화를 아주 잘 만드는 사람의 그 능수능란하고 대단한 손길은 어떻고? 당연하다, 감독이 "우디 앨런"이니까. 그리고 결코 당연하지 않다, 이전의 "우디 앨런"이라면 엄청난 블랙유머를 가진 코미디로 풀었을 테니까.
영화를 보면서 이 할배가 미쳤나, 노망이 들었나 싶었다. 아무리 기억을 더듬어 봐도, 이 할배가 이렇게 굳은 얼굴로 작정하고서 눈앞에 시퍼런 칼을 들이미는 영화를 보고 들은 적이 없기에. 도대체 우디 할배한테 무슨 일이 일어난 거지? 게다가 이 할배는 원래 러브러브 뉴욕~파가 아니었던가. "스칼렛 요한슨"을 빼고 런던 배경에 영국배우들로 꽉꽉 들어찬, 무시무시하고 염세적이고 '직설법'을 구사하는 이 영화가 정말 "우디 할배"가 만든 영화라고?
"매치 포인트"의, 이른바 사람들이 '반전'이라 부르는 그 마무리는 더욱 충격적이었다. 그래, 나는 그걸 바랐다. 하지만 그가 그녀들에게 그런 대사를 할 줄 몰랐고, 정말 그렇게 될 줄은 몰랐다.
그래, 이게 자본주의였지. 크리스는 '운'이라 말하지만, 그가 그토록 입에 달던 '운'이라는 것이 맨 마지막 장면에서는 크리스가 아닌 가족들의 입을 통해 발화된다. 그거다. 운이라는 건 자본주의가 사람들을 포섭하기 위해 내건 은총의 선택이다. 개인의 노력? 성실? 능력? 좋아하는 걸 끝까지 즐기며 하는 것? 웃기는 소리. 자본주의의 간택, 애초의 지배자들의 간택이다.
그것을 지배자들 스스로 '운'이라고 부른다. 니가 운이 좋은 거야, 왜냐하면 우린 널 선택했으니까. 넌 우리 편이 되기 위해 그 무슨 짓이라도 할 테니까, 그리고 결코 네 원래 자리로 돌아가지 않을 테니까. 그 대사가 가족들의 입에서 나오는 건, 핏줄로 이어지고 나서야 비로소다. 그제서야 그는 정말로 그들 사회에 포섭된 것이다. 그가 무슨 짓을 했든 ... 안 들키면 되는 거다.
수많은 출세의 욕망 드라마에서 주인공들이 하나같이 패한 것은, 그들이 자신의 출신적인 한계 - 우리가 '일말의 양심'이라 부르는 한 가닥의 윤리, 혹은 원래 자리로의 회귀 본능을 완전히 버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완전히 자본주의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내가 평생 가난하게 살 수밖에 없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가난하지만 자기 고집을 내세우면, 그리고 행복을 찾으려 들다간, 그리고선 감히 지배층과 엮이려 들었다간, 노라 꼴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자본주의의 말씀이다.
영진공 노바리
'상벌중앙조정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이트 플랜`, 여주인공은 지형지물에 익숙해야 한다. (0) | 2012.04.06 |
---|---|
`화차`, 가장 무서운 것은 사는 일 (0) | 2012.03.23 |
`머시니스트`, 지금 당신의 잠자리는 편안하신지? (0) | 2012.03.09 |
`우주 전쟁`, 세상의 단순한 이야기를 블록버스터에 담아낸 영화 (0) | 2012.03.09 |
`달콤, 살벌한 연인`, 무난하고 산뜻한 로맨틱 코미디 (0) | 201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