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 뚫린 듯 비가 퍼붓던 날, 퀵 아저씨가 장판같이 두꺼운 우비를 걸치고 터벅터벅 걸어 들어왔다. 땅이 꺼질듯 거친 한숨을 내뱉고는 그가 말했다. “오늘 또 한명 갔어. 젠장. 아 진짜 조심히 좀 다니라니까. ”
누군가 빗길에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는 얘긴가 보다. 무슨 말로 위로를 드려야 할지 몰라 망설이다가 “빗길인데 조심하세요.”라고 겨우 소리 내었다.
단편영화 <비보호 좌회전>에는 길가에 서서 우유와 빵조각을 입 안에 쑤셔 넣는 걸로 끼니를 대신하고 급하게 다음 배달장소로 떠나는 퀵 기사가 등장한다. 여기저기서 ‘빨리빨리’를 외치는데 하필 이때 오토바이가 멈춰 선다.
다른 방도가 없다. 땀으로 범벅이 된 채 죽을힘을 다해 달리다가 급한 대로 택시를 잡아탄다. 하지만 이미 늦을 대로 늦은뒤. 이게 얼마나 중요한 건줄 아냐며 코앞에 서류 봉투를 거칠게 흔들며 으르렁대던 여자는 앞으로 거래하지 않겠다는 쉬운 결정을내리고는 휙 떠난다.
그간 얼마나 많은 필름, 테잎, DVD 들을 영화제, 상영회, 개봉관으로 서울, 대구, 부산, 분당을 마다치 않고 퀵서비스를 통해전달했을까. . 전국 각지로 가장 빠른 서비스를 ‘빨리빨리’ 부르고 보채고 따지고 깎으며 이용한 고객인 나는 그들에게 진심의인사를, 절실한 안부를 건네보긴 했을까.
부산에서 본 많은 영화들은 택배 아저씨부터 스무 살 게이커플까지 내가 아닌 남의 사연을 조곤조곤 얘기한다. 왜 이제야 다른 사람들의 사연이 들리는 걸까.....
얼마나 긴 시간동안 나 혼자밖에 모르고 살았냐하면 말로 꺼내놓기 부끄러워 어딘가로 숨어야 할 지 모르겠다. 누군가의 고민은 간결한조언 한마디로 끝냈고 남의 단점을 쉽게도 꼬집었다. 남의 걱정은 내 것이 아니었고 똑같지 않은 것엔 공감하지 않았다. 그렇게일방적이고 내 중심적으로 세상을 살고 있는 이상한 나를 PIFF 영화들이 거울이 돼 비췄다.
<친구 사이>의 밀리터리 게이 커플도, <파주>의 결코 이룰 수 없는 사랑을 나눈 형부와 처제도,<피시탱크>의 방황하는 15살 소녀도, <산책가>의 앞 못 보는 꼬마도, <여행자>의 고아원서아빠를 기다리는 진희도. 모두 나보다 몇 겹은 두터운 이야기를 품고 산다.
그러면서도 <닿을 수 없는 곳>의 어린 가장은 아픈 엄마와 어린 동생 그리고 집 나간 아빠까지 모두 제 품안에 끌어안는다. 이들 모두는 짊어진 무게가 벅차도 위로를 구하지 않는다. 그저 묵묵히 혼자의 몫으로 받아들인다. 세상의 편견에 당당하게 맞서고심지어 행복한 노래로 마땅히 아픔을 삼킨다. 땅 속에 제 몸을 묻어버릴 만큼 모든 걸 놓고 싶던 어린 소녀조차도 결국 세상 속자기만의 오솔길을 찾아 천천히 걷는다.
'산업인력관리공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드 속의 한국계 배우들 (0) | 2009.11.17 |
---|---|
<브라이트 스타>와 존 키츠에 대한 잡담 (0) | 2009.10.28 |
`프리다`, 그러나 내가 알던 프리다 칼로가 아니다 (0) | 2009.09.24 |
패트릭 스웨이지를 추모하며 (0) | 2009.09.16 |
`굿모닝 프레지던트`, 장동건보다 장진을 앞세우다. (0) | 200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