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소통'을 할 때 반드시 맞춤법을 지켜야 할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일부러 새로이 글과 말을 만들어 써야 '쿨'해 보일 까닭은 더욱 없지 않을까.

자신의 논리를 글로 보여줌에 있어 잘 갖춰진 맞춤법이 받쳐준다면 금상에 첨화까지는 아닐지라도 그 글의 무게가 더욱 단단해짐은 굳이 강조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글을 적을 때 자주 헷갈려하는 몇 가지를 정리해 보았으니 이를 널리 알려 세상에 이롭게 하려 함이니라 ... (응?)



* -게

    ‘것이’의 준말일 경우에는 띄어씁니다.

    밥 먹게 비켜라 : 요건 어미이므로 붙여쓰고
    먹을 게 없냐? : 요건 ‘것이’의 준말이므로 띄어쓰고


    * -만하다

      ‘만하다’는 이대로 기본형이므로 붙여 씁니다.

      먹을 만하다 : ‘먹을만 하다’가 아닙니다.

      • ‘만’은 조사, 의존명사로도 쓰입니다.
        의존명사일 경우 띄어쓰고, 조사일 경우 붙여 씁니다.
        시간을 나타낼 때는 의존명사, 한정/제한/강조를 나타낼 때는 조사입니다.

      하루 만에 나타났다 : 시간을 나타내는 의존명사
      밥만 먹는다 : 강조하는 의미의 조사

      • 이외 ‘만하다’와 비슷한 단어들이 ‘척하다’ ‘듯싶다’ ‘양하다’ 등입니다.
        이 단어들은 ‘척 하다’ ‘듯 싶다’ ‘양 하다’가 아닙니다.

      바보인 척하다 (척 하다 X), 바보인 듯싶다 (듯 싶다 X), 바보인 양하다 (양 하다 X)


      * -데

        이 놈도 어미와 의존명사로 쓰입니다. 어미일 때는 붙여쓰고 의존명사일 때는 띄어씁니다.

        밥 먹는데 방해하지 마라 : 어미라 붙여 씁니다.
        밥 먹는 데가 어디냐? : 장소를 나타내는 의존명사이니 띄어 씁니다.

        비슷한 예로 ‘-지’도 있습니다.

        그가 날 좋아할지 모르겠다 : 어미이니 붙여 씁니다.
        그가 날 좋아한 지 오래됐다 : 시간을 나타내는 의존명사이니 띄어 씁니다.

        ‘오래됐다’도 ‘오래 됐다’가 아닌 ‘오래되다’란 기본형이므로 붙여 씁니다.


        * -데/-대

          ‘난 밥 먹었는데’ VS ‘난 밥 먹었는대’
          ‘엄만 밥 먹었데’ VS ‘엄만 밥 먹었대’

          어느 게 맞을까요?
          자기 경험을 말할 때는 ‘-데’, 남의 경험을 전할 때는 ‘-대’입니다.
          그래서 위는 ‘난 밥 먹었는데’가 맞고, 아래는 ‘엄만 밥 먹었대’가 맞습니다.


          * 못하다

            ‘술을 못 먹는다’에서 ‘못’은 부사이니 띄어야 하지만 ‘술을 못하다’는 ‘못하다’ 자체로 형용사이니 붙여 씁니다.

            비슷한 예로 ‘못살다’ ‘잘살다’ ‘잘하다’ 등이 있는데 이 단어들은 그대로 기본형이니 ‘못’이나 ‘잘’을 띄어쓰면 안됩니다.

            나는 못살았다 : 나는 가난했다는 뜻입니다.
            나는 못 살았다 : 나는 살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 '들'

              사람들이 많다 VS 사람 들이 많다
              개, 돼지, 소들이 많다 VS 개, 돼지, 소 들이 많다.

              각각 어떤 게 맞을까요?
              위에는 ‘사람들’이 맞고 밑에는 ‘소 들’이 맞습니다.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을 나열할 때 붙는 ‘들’은 명사이고 위에는 그냥 복수를 나타내는 접사이기 때문이죠.





              아래와 같은 문장을 읽는다고 치면

              옷이 더럽다
              옷 안이 더럽다

              어떻게 차이가 있을까요?

              [오시 더럽따]
              [오단이 더럽따]

              이렇게 읽어야 바른 읽기가 됩니다.
              ‘옷’ 다음에 똑같이 ‘ㅇ’이 오는데 발음이 달라집니다.
              위에서는 ‘ㅅ’ 아래서는 ‘ㄷ’으로 읽어야 하는 겁니다.

              우리말 쉽지 않습니다.
              속어, 비어를 사용하더라도 최대한 어근을 살리는 센스를.

              • ‘장자연 리스트가 도는 군요 X’ ... ‘도는군요 O’



              영진공 철구

















              Posted by Nowhere_M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