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의 비싸고 경치 좋은 곳에서 사는 백만장자 증권 중개인 니콜라스 밴 오튼("마이클 더글러스")은 자기 잘난 맛에 살면서 남의 실수는 용납하지 못하는
자칭 타칭완벽주의자이다.
그러니 주변에 친구도 없고 아내도 떠나고 동생 콘래드("숀펜")와도 연락을 끊고 지내지만 별 문제의식이 없다. 평소와 다름없이 잘난 척을 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무안을 주던 어느 날, 동생이 CRS라는 체험서비스회사의 가입신청서를 보내온다. 호기심으로 가입신청서에 서명하고, 귀가하던 오튼은 집 앞에 드러 누워있던 사람을 차로 치고는 대경실색한다. 알고 보니 그건 사람이 아니라 마네킹!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일이 자꾸만 꼬이다가 결국 경찰에 쫓겨 도망치는 신세가 된다. 이건 이후 그가 겪을 고난에 비하면 아주 사소한 일이었는데 이 모든 것은 그가 가입한 체험서비스의 시작이었다 ......
『세븐』으로 유명한 "데이빗 핀쳐"의 1997년작 『더 게임』(The Game)이라는 영화의 줄거리다.
이 영화에 대한 평은 대부분 나쁘다. 그런 평에는나도 동감이다. 어디까지가 게임이고 어디까지가 진실인지를 놓고 끝까지 관객과 게임을 벌이는 영화의 전개 자체는 그럭저럭 참아줄 수 있었다. 하지만 결말은 여전히 황당했다.
왜 동생은 그렇게 많은 돈을 들여가며 형에게 죽을 고생을 시키고 결국에는 절망의 나락에까지 떨어트리는 게임서비스를 하게 만든 건지, 그래서 결국 뭐 어쩌자는 거였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저 ‘돈지랄하는구나’ 라는 생각 뿐 이었다.
온갖 스턴트와 특수효과로 치장한 영화 자체도 그렇고, 좌절을 겪을 일이 워낙 없어서 비싼 돈주고 “좌절을 겪게 해주는 게임”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 자체도 그저 '돈지랄' 일 뿐이었다.
그런데,지나고보니 이게 단순한 돈지랄 이야기만은 아니었다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어떤 사람들은 지위가 높아질수록, 힘이 생길수록, 돈을 더 많이 벌수록, 망가진다 ......
그게 완전히 돈이나 지위 권력 때문만은 아니다. 원래 그런 사람에게는 망가질 소지가 다분히 있었다. 하지만 그에게 권력이나 지위가 적을 때는 스스로 조심도 했고, 약자로서의 인식이 나름의 정의감을 유지할 수 있다. 문제는 그런 사람이 더 이상 조심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서서히 숨겨두었던 어두운 모습이 드러나기 시작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그에게 새로 주어진 권력이 그 어두움을 그냥 개인적인 어두움으로 끝나지 않고 주변사람들에게 해악을 끼치게 만들게 된다. 결국 이런 사람은 성공할수록 더 나빠지고 망가진다. 그가 성공하지 못했다면 오히려 좋은 일을 했을지도 모르는 사람이 성공하는 바람에 추악한 인간이 되어버리는 아이러니가 벌어지는 거다.
사실 이건 일부 인간들만의 이야기는 아닐지 모른다. 적어도 우리나라에서 소위 잘 나가거나 높은 자리하시는 분들 치고 망가지지 않는 인간이 없으니 말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결국 환경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동물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아무리 잘나가도 망가지지 않을 인간성은 없을지도 모른다.
1969년에 로렌스 피터라는 사회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관료제도하에서) 인간은 자신이 감당 할 수 없는 지위까지 승진한다.
그 결과 모든 관료는 무능해진다”
‘피터의 원리’ 라고도 불리는 이 명제를 인간성과 성공에 적용하면 다음처럼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모든 인간은 자신의 인간성이 감당할 수 없는 지위까지 성공한다.
그 결과 모든 성공한 자는 흉악해진다”
그건 그렇다 치자. 문제는 이런 사람들을 어떻게 고칠 수 있을 것이냐는 거다.
진심 어린 충고를 하면 될까? 천만에, 이런 사람들은 이미 간이 배 밖으로 나와버렸고, 귀는 자기에게 유리한 말만 골라듣는 경지에 이르렀으므로 오히려 그 충고를 비수로 바꾸어 뒤통수를 치는 것으로 앙갚음을할 뿐이다.
심리치료를 한다면? 자기 합리화와 방어기제로 든든하게 무장한 그의 심성에는 그 어떤 치료사도 소용이 없다. 아니 그런 사람은 아예 상담이나 치료를 받으려 하지 않는다. 자신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 문제가 있다고 여길 테니 말이다.
간단하게 말하자. 모든 인간은 변화를 원하지 않는다.
인간이 변화하고자 할 때는 자신이 변화하지 않고서는 더 이상 살아남을 수 없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인식했을 때이다. 다시 말해서 사람은 자신이 처한 환경의 압박이 자신에게 절박하게 다가올 때에만 변화를 시작하려 한다는 거다.
그럼 이런 사람들이 왜 굳이 자기 자신을 고치려 해야 할까? 그럴 이유가 없다.
남들을 무시하고 이용하고 사기를 쳐도 자신의 지위를 위협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약간 문제가 생겨도 자신에게 주어진 권력과 지위를 이용해서 진압하고 무시할 수 있다면 그는 절대로 변화하지 않는다.
결국 이들이 계속 잘 나가는 한, 이들의 문제는 고칠 수 없다는 얘기다 된다. 그렇다면 남은 유일한 치료법은 그들을 좌절시키는 것이다. 진짜로 절박한 상황에 집어넣고 자신을 되돌아보지 않으면 안되게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런 일이 가능할까?
진짜 좌절을 겪게 만들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자니 그 사람을 도와주자는 건지 실제 공격하는 건지 구분이 안된다. 특히 상대가 당신과 가까운 사람이라면 그런 시도를 해서 성공해봐야 “믿는 도끼가 발등을 찍었다”는 비난을 받을 것이고, 어설프게 해서 실패하면 역으로 당신에게 진정한 위기가 닥칠 것이다.
결국 남에게 비난 받지도 않고, 자신도 안전하고,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진짜 같지만 진짜는 아닌” 좌절상황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치 스쿠루지 영감에게 찾아온 친구 귀신이 제공해 준 것과 같은 체험 말이다. 이런 맥락을 알고 나면, 영화에서 하고자 했던 것이 뭔지 이해가 된다.
“다 게임이었어. 형이 더 이상 망가지는 걸 그냥 보고 있을 수가 없었거든...”
이라는 동생의 마지막 말은 바로 그 얘기였다. 너무 늦어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 자체가 사라지기 전에 지나친 성공으로 인해 망가져가는 형을 돌이켜보려는 시도였던 것이다. 아! 이 아름다운 형제애여 ......
그러나, 이런 이해에 도달했다고 해도 여전히 현실의 우리에게 이 영화는 환상일 뿐이다.
우리에겐 그런쑈를 할 돈도 없고, 돈이 있다고 해도 그렇게 실감나는 체험서비스를 제공할 회사도 없으며, 무엇보다도 그런 어둠의 포스에 먹혀가는 인간을 걱정해주기 보다는 그들로 인해 황폐해져 가는 우리 자신의 삶을 더 걱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일부 인간은 지나치게 성공해서 망가지고, 더 많은 다른 인간들은 그 지나친 성공으로 인해 망가진 작자 때문에 성공하기도 전에 망가진다는 거다.
역시 세상은 불공평하다.
'상벌중앙조정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리언 달러 베이비`, 꿈이 없는 사람은 꿈을 가진 사람을 알아 본다. (0) | 2012.02.10 |
---|---|
`스테이션 에이전트`, 친구가 있다는 건 참으로 행복한 일이다. (0) | 2012.02.03 |
`시리아나(Syriana)`, 팍스 아메리카나(Pax Americana)의 다른 이름 (0) | 2012.01.13 |
`브리짓 존스의 일기: 열정과 애정`, 조금 실망스럽지만 여전히 유쾌한 영화 (0) | 2012.01.06 |
`고 녀석, 맛나겠다`(まえうまそうだな, 2010), 내가 니 밥이다! (1) | 201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