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난 사건이었다. 내가 살고 있는 환경과는 다른 곳, 여전히 비행기로 하루의 거리를 날아가야 닿을 수 있는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고는 하지만 두 명의 고등학생이 중화기로 무장을 하고 자기가 다니던 학교 안에서 무고한 다른 이들을 사살하는 사건이 있었다. TV에는 당시 현장에 있었던 생존자 - 그렇다! 지옥에서 목숨을 부지하고 달아난 생존자 - 들이 울부짖는 인터뷰가 전세계로 전파되었고 그곳의 각급 학교에는 공항에서나 볼 수 있는 검색대가 설치된 모습이 방영되었다. 불가능이 없는 세상에서, 언제 어디서든지 그런 어처구니 없는 일이란 일어날 수 있는 일이지만, 막상 그런 일이 눈 앞에 벌어지게 되면 사람들은 경악하게 된다. 그건 정말 경악스런 일이었다.

이후로 마이클 무어의 <볼링 포 콜럼바인>(2002)이 만들어져 그때 사건을 회상하고 설명하고 미국에 대해 주장했다. 어떤 이들은 이 다큐멘터리를 통해 그 사건을 알았고 그중에 어떤 이들은 컬럼바인 고등학교에서의 총기 난사 사건과 미국을 이해하는 새롭고도 매우 설득력있는 시각을 얻을 수 있었다.

구스 반 산트의 <엘리펀트>(2003)는 <볼링 포 콜럼바인>이 보여주지 못했던 그 사건 자체를 그 날의 풍경 속에 담아 고스란히 목격할 수 있게 해준다. 그 날의 하늘은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 가장 보고 싶어하는 높고 푸른 가을 하늘이었고 땅에는 푸른 잔디와 붉은 낙옆들이 덮여 있었다. 그런 하늘과 땅 사이에 아직 미래를 알 수 없는 어리고 젊은 삶들이 자기 일상 속에 놓여 있었다. <엘리펀트>는 그런 일상의 순간 순간들을 부분적인 슬로모션으로 처리하며 강조점을 여기저기 찍어놓기까지 했다.

그리고 우리가 듣고 어렴풋이 짐작 정도나 하고 있었던 그 사건 자체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게 해준다. 그 사건의 사실은, 우리가 알고 있던 것 보다 훨씬 더 계획된 일이었으며 우리가 알고 있던 것 보다 훨씬 더 많은 탄환이 사용되었으며 (탄환 뿐만이 아니라 미리 설치된 폭탄까지 학교 건물 안에서 터졌던 것이었으며) 학생 식당 같은 하나의 장소에서 마구잡이식 난사로 벌어진 일이 아니라 하나 하나를 정확히 겨냥해 저격하고 사냥함으로써 이루어진 일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 날의 가을 하늘은 여전히 높고 푸르기만 했다.




그러나 <엘리펀트>는 그 날의 사건으로 인한 전율과 공포, 충격과 고통까지 전달하려고 애쓰지는 않는다. 그런 일에 대해 우리가 어떤 태도와 감정을 보여야 좋은지 가르치려고 하지 않고 그런 것들을 애써 자극하려 들지 않는다. 오히려 구스 반 산트가 애써 의도했던 바는 이미 일어난 그 일에 대한 하나의 시각과 하나의 반응과 하나의 의견과 하나의 주장을 솜씨 있게 피해나가는 일이었다.

세상 모두가 다 아는, 이미 일어난 사건의 전후 사정에 대해 면밀하게 조사하고 최대한 있었던 그대로를 재연하여 영화화하는 일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리고 그런 사건에 대해 자신의 견해와 주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거나 관객들에게 그 날의 충격과 공포, 고통과 슬픔을 동감하게끔 해주는 일 역시 유능한 작가라면 얼마든지 해낼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구스 반 산트가 <엘리펀트>를 통해 하고자 했고 결국 해낸 일은 우리가 예상하고 기대했던 것들과는 전혀 다른 효과를 빚어내는 일이었다. 하나의 견해와 주장으로 인해 관객들이 둘로 셋으로 갈라지지 않도록, 오히려 모든 개개인이 제각각의 시각과 견해를 갖도록, 그리하여 결국엔 하나로 남아있게끔 한다.

충격? 전율? 비극? 모두 <엘리펀트> 앞에서는 홍보 문구일 뿐이다. 그 사건에 대한 표현은 될 수 있겠지만 그 사건을 다룬 이 영화, <엘리펀트>에 대한 표현으로는 걸맞지가 않다. 왜 <엘리펀트>는 스스로의 견해와 표현을 애써 회피하여 했는가? 어떤 이유로 <엘리펀트>는 정치적으로 비난을 받아 마땅한 무비판, 무견해, 무감정의 입장을 스스로 택하게 되었는가? 그러나 이런 질문에 앞서 먼저 답해져야 할 질문이 있다. 모든 사람이 이미 경악했고 누가 보아도 고개를 끄덕일 수 밖에 없는 설명들이 쏟아져 나온 상황에서 또 한편의 영화는 과연 어떤 식으로 만들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다. 물어보나 마나한 '눈으로 보는 참조 문헌'의 하나로 남을 것인가, 아니면 다시 돌이켜보기도 싫은 충격의 사건을 통해 눈물의 카타르시스를 안겨주는 엔터테인먼트가 되었어야 할 것인가. 그도 저도 아니라면, 어느 누구도 쉽게 결론 내릴 수 없는 삶에 대한 통찰의 계기를 제공하는 영화를 만들어 볼 수도 있는 것은 아닐까. 어느 누구도 쉽게 해설할 수 없고 오직 개인적인 질문과 답변의 연속만 가능케하는 커다른 의문 부호와 같은 영화를 선보일 수도 있는 건 아닐까.

어떻게 보면 구스 반 산트는 <엘리펀트>를 통해 몹시도 이기적인 선택을 했던 것일 수도 있다. 모두가 아파하는 그런 이야기를 소재로 자신의 예술적 성취를 이루어내다니! 못된 인간 같으니라구! 그러나 구스 반 산트는 최소한, 멜 깁슨이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를 통해 얻어낸 그런 식의 이기적인 성취는 아니었다고 본다.





ps. 실제 콜럼바인 고등학교 사건은 99년 4월 20일에 있었다. 청명한 가을 하늘과 낙옆들 위에서 일어난 일은 아니란 얘기다. <엘리펀트>가 다큐멘터리나 논픽션 드라마로 남고자 했었던 건 아니란 얘기다.





영진공 신어지















Posted by Nowhere_M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