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에 호주에 간 적이 있다. 아들레이드(Adelaide)에서 열린 국제 컨퍼런스에 참여하기 위해서였는데, 7일 일정으로 시드니(Sydney)와 아들레이드에 머물렀다.
시드니에서는 야밤에 오페라하우스 근처를 배회하다가 게이 친구로부터 유혹(?)도 받았고 아들레이드의 호텔에 투숙하려고 숙박부를 기재하다가 "우리 스코틀랜드에서는 ... (호주 아니었어???) ... 날짜를 일, 월, 년으로 쓴다"라고 지적받기도 했고, 시내 술집에서 우연히 호주 공산당원하고 합석이 되어 태평양 전쟁 시 일본 제국주의의 야만성을 목소리 높여 성토하기도 했었다. 아, 그리고 렌터카 빌릴 때 미국 면허증을 내밀면 국제면허증 따위는 보자고도 하지 않고 바로 빌려줍디다.
그런데 도대체 이 얘기를 왜 하냐고???
내 말이 그거다. 이 영화가 그런 식이다.
이 얘기 저 화면 마구 들이대기는 하는데 요점도 없고 그닥 재밌지도 않으며 무쟈게 식상하다. 게다가 물경 2 시간 30 분 동안 두 남녀의 뻔한 사랑 이야기를 지리하게 늘어놓고서는 느닷없이 실은 지난 세월 호주에서 많은 고통을 받았던 "잃어버린 세대(원주민과 백인의 혼혈을 지칭함)"를 위해서 영화를 만들었노라고 자막을 띄워서 숙연해주시기까지 한다.
그런 경험들 하신 적이 있을 것이다. 좋다는 재료는 다 넣어서 만들었다는 음식을 받아들고 흐뭇한 마음에 허겁지겁 수저를 놀려 입에 넣었는데 ... 정작 혀를 감싸는 맛은 이게 ?미???
호주라는 광활한 자연, 호주 출신의 이름값 높으신 두 주연배우(니콜 키드먼 & 휴 잭맨), 비쥬얼로 승부하여 성공한 호주 출신 감독(바즈 루어만), 짭잘한 조연들 (FX의 그 아저씨와 쿵후허슬의 주인아저씨 등등), 1억 8천만 달러의 제작비 등 하나하나가 엄청나게 좋은 재료들.
거기에 러브스토리, 서부극, 전쟁물, 휴먼드라마, 권선징악, 마법, 가족애 등의 효과가 검증된 모든 요리방식들까지 아낌없이 다 동원한 이 영화.
에고, 정작 결과는 이런저런 영화들에서 보았던 장면들을 다시 찍어서 짜깁기하느라 광활하고 거친 매력이 넘치는 호주의 자연조차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말이 나와서 말인데, 어째서 코알라는 한 마리도 안 보여주는거냐고!!!!!
뜬금없이 대입되는 "오즈의 마법사"는 또 뭐냐능~
그러니까 사라(니콜 키드먼 분)가 도로시이고 호주가 매직랜드라고 하고 싶었던 모양인데 ... ... 납득 실패!!!!!
거기에다가 그 노래, (Somewhere) Over The Rainbow ... 이거 아주 좋은 재료긴 하지만 적정량을 사용해야 효과가 커지는데 있는대로 온통 풀어 넣는 바람에 ... ... 감동 실패!!!!!
뽀나스.
개인적으로 "뮤리엘의 결혼"과 함께 최고로 꼽는 호주 영화 "프리실라"의 한 장면
영진공 이규훈
'상벌중앙조정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속 스캔들(2008), `이 영화는 제목이 안티다.` (0) | 2008.12.18 |
---|---|
스테이 (Stay, 2005) `높은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는 거리가 먼 영화` (0) | 2008.12.15 |
빨간 구두 (Non Ti Muovere, 2004), `전통적 영화감상의 익숙한 쾌감을 주는 영화` (0) | 2008.12.09 |
추적(sleuth, 2008) `남자는 말이 아니라 주먹인거다.` (0) | 2008.12.03 |
`눈먼 자들의 도시`, 원작의 무게에 눌려 범작이 되다. (0) | 200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