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에게도 의지하지도 말고
사랑에 눈물 흘리지 말고
씩씩하게 자신의 길을 걷는
당신의 뒷모습은 정말 아름답습니다
전 그저 아무말 못하고
당신을 지켜 볼 뿐 입니다
프로그램명 : 파견의 품격
종영 : 일본 NTV 2007년 1월 10일 ~ 2007년 3월 14일
소개 : 소문난 만능 파견사원의 활약상을 코믹하게 그려낸 이야기
출연 : 시노하라료코, 가토 아이, 고이즈미 고타로, 카츠지 료, 이타야 유카
일본드라마는 남녀간의 사연 보다는 주제로 승부 할 때 제일 재미 있는 것 같습니다. 애정과 사랑이 주가 되는 드라마는 아무래도 한국 드라마를 더 처 주게 되지만 일본 드라마는 오히려 특정 주제로 나가면서 양념으로 사랑을 버무릴 때에 대작 들이 더욱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역대 드라마를 보면 춤추는 수사본부, 정의는 이긴다, 히로, 서무2과, 게이소쿠, 트릭 등등이 이러한 식의 드라마라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파견의 품격은 한국에서도 많은 문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는 계약직 사원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사실 우리 보다 선진국으로 먼저 진입한 일본은 계약직에 관해서는 선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잡들이 계약직으로 즉 파견으로 이루어 지고 있지요. 보수가 한국 보다 조금 낳다는 점 외에는 그 노동 환경은 한국이나 별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유명 여배우가 아닌 B+정도의 시노하라 료코가 주연 남자 배우들도 별 유명 하지 않았슴에도 불구하고 주제 때문이였는지는 몰라도 작년 이 드라마는 일본에서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작품이지요.
현실에서는 별 가능성이 없어보이는 수퍼 우먼 싱글 계약직 사원의 료코를 보면 속이 시원해지기도 하고 그 동안 인생의 대부분을 정 사원으로 근무 하였던 저에게는 반성의 기회이기도 하였습니다.
결국 월급쟁이는 정규직이건 파견직이건 오십보 백보라는 결론으로 샐러리맨의 애환을 보면서 문득 그 동안 지나쳤던 여자 직원들의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사회는 참으로 잔인합니다. 성공은 몇몇의 전유물이며 그 밑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일하다 스러져 갑니다. 아무래도 사회적 약자일 수 밖에 없는 여성분들은 더욱 더 그러합니다. 공부를 마치고 사회에 나와서 그럭 저럭 지나다 좌절을 하다 결혼으로 그 사회 생활을 자의반 타의반 마치기도 하지만, 일상적인 길을 마다하고 간혹 혼자서 열심히 홀로서기를 하는 분들을 보면 부럽기도 하고 존경 스럽기도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파견의 품격은 우리에게 꿈을 주는 드라마라 할 수 있겠지요. 그 현실성은 차지 하고라도.
사족: 시노하라 료코의 세리프 "...데쓰가, 소레가 나니까"는 정말 불후의 세리프 입니다. 지난 그 긴 직장생활 속에 몇번이고 상사에게 료코의 뉴앙스로 하고 싶었지만 정작 한번 도 못 해 보았네요.
그리고 주제가도 참으로 아름답네요 필이 꽂혀 되돌이표로 듣고 있는 중입니다.
사랑에 눈물 흘리지 말고
씩씩하게 자신의 길을 걷는
당신의 뒷모습은 정말 아름답습니다
전 그저 아무말 못하고
당신을 지켜 볼 뿐 입니다
프로그램명 : 파견의 품격
종영 : 일본 NTV 2007년 1월 10일 ~ 2007년 3월 14일
소개 : 소문난 만능 파견사원의 활약상을 코믹하게 그려낸 이야기
출연 : 시노하라료코, 가토 아이, 고이즈미 고타로, 카츠지 료, 이타야 유카
일본드라마는 남녀간의 사연 보다는 주제로 승부 할 때 제일 재미 있는 것 같습니다. 애정과 사랑이 주가 되는 드라마는 아무래도 한국 드라마를 더 처 주게 되지만 일본 드라마는 오히려 특정 주제로 나가면서 양념으로 사랑을 버무릴 때에 대작 들이 더욱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역대 드라마를 보면 춤추는 수사본부, 정의는 이긴다, 히로, 서무2과, 게이소쿠, 트릭 등등이 이러한 식의 드라마라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파견의 품격은 한국에서도 많은 문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는 계약직 사원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사실 우리 보다 선진국으로 먼저 진입한 일본은 계약직에 관해서는 선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잡들이 계약직으로 즉 파견으로 이루어 지고 있지요. 보수가 한국 보다 조금 낳다는 점 외에는 그 노동 환경은 한국이나 별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유명 여배우가 아닌 B+정도의 시노하라 료코가 주연 남자 배우들도 별 유명 하지 않았슴에도 불구하고 주제 때문이였는지는 몰라도 작년 이 드라마는 일본에서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작품이지요.
현실에서는 별 가능성이 없어보이는 수퍼 우먼 싱글 계약직 사원의 료코를 보면 속이 시원해지기도 하고 그 동안 인생의 대부분을 정 사원으로 근무 하였던 저에게는 반성의 기회이기도 하였습니다.
결국 월급쟁이는 정규직이건 파견직이건 오십보 백보라는 결론으로 샐러리맨의 애환을 보면서 문득 그 동안 지나쳤던 여자 직원들의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사회는 참으로 잔인합니다. 성공은 몇몇의 전유물이며 그 밑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일하다 스러져 갑니다. 아무래도 사회적 약자일 수 밖에 없는 여성분들은 더욱 더 그러합니다. 공부를 마치고 사회에 나와서 그럭 저럭 지나다 좌절을 하다 결혼으로 그 사회 생활을 자의반 타의반 마치기도 하지만, 일상적인 길을 마다하고 간혹 혼자서 열심히 홀로서기를 하는 분들을 보면 부럽기도 하고 존경 스럽기도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파견의 품격은 우리에게 꿈을 주는 드라마라 할 수 있겠지요. 그 현실성은 차지 하고라도.
사족: 시노하라 료코의 세리프 "...데쓰가, 소레가 나니까"는 정말 불후의 세리프 입니다. 지난 그 긴 직장생활 속에 몇번이고 상사에게 료코의 뉴앙스로 하고 싶었지만 정작 한번 도 못 해 보았네요.
그리고 주제가도 참으로 아름답네요 필이 꽂혀 되돌이표로 듣고 있는 중입니다.
영진공 클린트
'상벌중앙조정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스트 라이언즈> - 바로 지금, 우리에게도 절실한 이야기 (0) | 2007.11.19 |
---|---|
<스카우트>, 웃음과 재치 속에 비극을 담는 하나의 전범 (0) | 2007.11.19 |
<색, 계>, 그녀의 마음을 무너뜨린 한 마디 (0) | 2007.11.15 |
썸머 타임머신 블루스 (Summer Timemachine Blues, 2005) (0) | 2007.11.09 |
<카핑 베토벤>, 위대한 영화란 바로 이런 것 (0) | 2007.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