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가끔 '아, 내 경험은 드라마 그 자체야!' 라고 말하곤 한다. 정말 자기 경험을 드라마로 옮기면 모두들 재미있어 할 것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다. 하지만 사실을 말하자면, 모두들 그런 드라마 한 두개씩은 가지고 산다.
그리고 내가 보기엔 정말 대단한 드라마 같지만, 그게 실제로 드라마로 만들어지고 나면 정말 재미없고 진부한 얘기로 변신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그것이 영화든 드라마든 게임이든지 간에 모든 매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아이러니는 현실을 충실하게 재현하면 오히려 현실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극무대 라는 매체에서 배우들은 우리가 평소에 하듯 말하고 행동해서는 관객들의 공감을 얻지 못한다. 그래서 연극무대에 적절한 연기법이 따로 있다. 그리고 이런 연극배우들이 TV나 영화라는 다른 매체로 옮겼을 때 적응에 애를 먹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이는 영상 기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시청자들이 TV를 보면서 실감을 느끼는 화면색은 실제 색깔보다 더 선명하다.
얼굴도 마찬가지다. 그냥 보면 아주 예쁜 얼굴이 사진으로 보면 달덩이로 보이는 경우도 있고, TV 브라운관에서는 멀쩡해 보이던 사람이 실제로 보면 외계인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사진빨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물론 요즘은 그 사진빨도 찍히는 각도조절과 포토샵으로 조작해내는 시대지만 실제로 사진을 잘 받는 얼굴, 카메라를 잘 받는 얼굴이 따로 있다.
이건 표정 연기 같은 것에도 적용되는 원칙이다. 미소를 예로 들어보자. 내가 진짜 즐겁게 웃는 장면을 사진으로 찍으면 이게 웃는 건지 우느라 일그러진건지 분간이 되지 않는다. 영화나 TV 브라운관 속에서 보는 진짜 미소같은 미소는 그렇게 해서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 유명 연예인들이 미소짓는 장면을 잘 살펴보고 한번 따라해 보라. 그러면 그들의 웃음은 진짜 웃음이 아니라는 걸 알게된다. 얼굴에서 눈 아래부터 뺨 윗부분까지는 긴장을 풀고 입가와 눈가에만 힘을 줘야 포토제닉한 미소가 만들어지는데, 진짜 즐거울 때는 그렇게 웃을 수가 없다. 그래서 나는 포토제닉한 미소 짓기는 포기했다. 그냥 웃고 말지 ...
진정한 웃음, 파안대소를 짓는 효리양. 이런 사진 올려서 미안해요
진짜 웃음과 전형적 미소 사이의 미묘한 지점에서 소탈하지만 보기 좋은 웃음을 연출한 효리양
액션영화의 장면들도 마찬가지다.
스크린 속에서는 엄청 위험하고 박진감 나게 보이던 장면을 실제로 찍는 모습을 보면 스릴은커녕, 무슨 애들 장난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당연하다. 실제 촬영이 그렇게 박진감 넘치면 위험해서 누가 영화 찍겠나... 그러면 그 박진감은 어디서 올까?
아는 친구 하나가 소리를 죽인 상태에서 성룡 영화 비디오를 본 경험을 이야기해 준 적이 있다. 그 친구 왈, 소리를 들으면서 볼 때는 그렇게 빠르고 정확하게 느껴지던 타격장면들이 소리를 없애고 나니까 그냥 대강 팔을 휘젓고 저 혼자 나가떨어지는 장면으로 보이더란 거다.
모든 성룡 영화가 그랬을 것 같지는 않다. 내게도 한때 성룡은 우상이었다. 하지만 어느 정도는 그게 사실이다. 음향 효과, 조명, 앵글, 편집 등이 촬영장에서는 아주 밋밋하던 움직임을 박진감 넘치는 장면으로 변신시킨다.
반대로 실제로는 정말 박진감 넘치고 위험한 활동인데도 정작 스크린에 옮기고 나면 이게 영 밋밋해지기도 한다. "익스트림 OPS"(2002)가 바로 그런 영화다. 이 영화의 홍보용 기사에서는 다음과 같이 얘기한다.
"이 영화는 위험을 무릅쓰는 걸 보여주려는 게 아니라 진정한 즐거움을 보여주려는 것이다" "크리스찬 드과이" 감독이 말하는 영화의 의도는 명확하다. 하지만 그것을 실감나게 보여주기 위해 그는 위험을 무릅쓰고 모든 장면을 실제로 찍어야 했다. 고공 케이블카와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장면들뿐만 아니라 카약을 타고 폭포로 떨어지거나 수직에 가까운 산에서 스노우보드 묘기를 펼치는 등의 장면들도 블루스크린이나 별도의 합성작업을 고려하지 않았다. 제작진은 이 모든 장면들의 실제 촬영을 위해 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미국, 영국,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홍콩 등 전세계에서 총 178명의 스턴트맨을 고용했고, 『스타워즈 에피소드2』의 스턴드 코디네이터를 맡았던 탐 델마가 이들의 지휘를 맡았다. 거기에 몸을 아끼지 않는 배우들부터, 자신의 몸을 직접 내던지는 열성적인 감독까지 가세한 제작진은 말 그대로 최상의 익스트림 드림팀으로 꾸려진 것이다. (씨네 서울 기사에서)
이 기사에서도 말해주듯 이 영화는 거의 스턴트맨들에 의한, 스턴트맨들을 위한 영화다.
그래서 온갖 스턴트 장면들로 넘쳐난다. 스카이다이빙에서 래프팅으로 이어지는 처음 장면부터, 헬기에서 뛰어내리고 케이블카에서 뛰어내리고, 눈사태 앞에서 스노보드와 스키를 타고 ... 자기 장기를 자랑하고 싶어 안달하는 스턴트맨들로 꽉꽉 채워진 함량 110% 액션 영화다. 보다 보면 감독이 한 일 보다는 스턴트 코디네이터가 한 일이 더 많을 것 같다.
하지만, 정작 재미는 없다.
그뿐이랴, 크레이지 핸드와 데스티네이션으로 나름대로 유명한 "데본 사와"도 나온다
이 영화의 기획단계에서 이들은 이렇게 말했을 거다.
이거 진짜로 해봐라, 짜릿함이 한 이틀간은 갈거다. 하지만 영화에서 보는 거라면
근데 어쩌랴... 그게 그렇지 않으니 말이다.
광고 카피와는 달리, 이 영화는 "버티칼 리미트"보다 짜릿하지도 못하고, "트리플 엑스" 보다 강력하지도 못했다. 개별 요소들은 그런거 같지만 정작 그것들을 모아놓은 전체 영화는 그렇지 않았다.
영화에 어울리는 연기와 연극에 어울리는 연기, TV 브라운관에 어울리는 연기는 따로 있다. 매체의 특성에 따라서 같은 움직임이나 표정도 전혀 다른 이미지로 전달된다. 연극 무대에서 배우는 얼굴 뿐만 아니라 몸 전체의 움직임을 통해서 관객들에게 자기 감정을 전달해야 하는 반면, 클로즈업이 많은 TV 브라운관에서는 아주 미세한 움직임이 어울린다. 그래서 연극무대에서 하던 방식으로 TV에서 연기하다간 오버액션이 되기 딱 좋다.
영화는 두가지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어떤 때는 연극처럼, 어떤 때는 TV처럼 ...
중요한 것은 실제 어떤 장면이 아무리 위험하고 빠르고 격렬하더라도 어떤 매체를 통해서 어떻게 연출되느냐에 따라서 전혀 그 이미지로 전달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거다. 그래서 영화나 TV에서 리얼하게 맞고 때린다는 느낌을 관객들에게 주기 위해서 진짜로 맞고 때려야 하는 게 아니다. 그렇게 연출을 해야 하는 거다.
진짜라고 해도 그게 반드시 진짜로 전달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진짜스러우려면 연출이 필요하다.
영화 "익스트림 OPS"은 바로 이런 교훈을 떠올리게 해준다.
영진공 짱가
'짱가의 '너 사이코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메테우스`, 파랑새 설화의 SF 버전 (0) | 2012.06.12 |
---|---|
`슈퍼맨 리턴즈`, 세상이 슈퍼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유 (0) | 2012.03.16 |
`인크레더블`, 멍청하고 게으르고 착한 영화에서 벗어나기 (0) | 2012.02.17 |
`에일리언 2`, 쓸데 없는 짓의 의미 (2) | 2012.01.13 |
`사이드웨이`, 부패와 숙성의 차이 (0) | 2011.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