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희나 작가의 베스트셀러 동화 “구름빵”이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져서 TV에서 하네요. 우연히 휴일에 채널을 돌리다가 KBS에서 하는 것을 보고 내용도 너무 좋아서 한참을 홀린듯이 들여다 보고 있었어요. 드디어 우리나라에도 “가족”이 나오는 애니메이션이 나온건가 하고 감탄했죠.






내 어린날의 디스토피아
전 아이가 “뽀로로”, “선물공룡 디보”같은 한국 애니메이션을 보고 자라는 것에 대해 정말 감사함을 느끼고 있었어요. 저의 어린 시절이 ‘모성결핍에 허덕이는 주인공’들만 가득한 일본애니메이션으로 추억되는게 정말 싫었거든요. 제목부터 아주 단적인 “엄마 찾아 삼만리”, 아이 두명이 엄마를 찾아다니는 “꼬마 자동차 붕붕”, 어른들이 도와줄 수 없는 4차원 세계에서 고군분투하는 “이상한 나라의 폴”, 모성이 부재한 디스토피아에서 유사모성의 부족한 사랑에 대해 부채의식을 느끼며 부재한 모성에의 대체재로써 ‘여신’을 옹립하려하는 ‘코난(부모 부재 상태에서 유사모성인 할아버지의 존재. ‘나나’를 모성대체의 여신으로 세우려고 하는 시도)’, ‘플랜더스의 개(부모 부재 상태에서 유사모성인 할아버지의 존재. 끝없는 부채의식 때문에 노동으로 할아버지께 갚으려고 하는 네로. ‘아로아’를 모성대체의 수단으로 삼으려고 하는 시도)’를 유년시절에 보고 자랐다면, 청소년기에 본 미야자키 하야오의 ‘천공의 성 라퓨타’나 ‘바람의 계곡의 나우시카’도 거의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요. 일본 애니메이션들에서 주인공들은 세계를 바꿀 수 없는 무기력하고 작은 존재이면서, 이전 세대가 망쳐놓은 디스토피아에서 모성의 부재를 괴로워하며 헤매이죠.




아이의 어린날의 유토피아
그런데 한국 에니메이션들이 나오면서 판도가 달라져요 “뽀로로”나 “디보”같은 한국 애니메이션에서 디스토피아 같은 세상은 온데간데 없고, 어른이 없는, 그래서 아이들만 있는 세상에서 그들 끼리 꼬뮨(Commune)을 이루고 유토피아적 삶을 추구하지요. 누구도 그들을 통제하지 않고, 누구도 그들을 가르치지 않아요. 서로 느끼고 행동하며 약자 (몇살 어린 연소자 크롱, 몸집이 작고 이방에서 이주해온 해리)에 대한 배려를 배우지요. 아이가 무의식 깊숙히 디스토피아를 인식하게 되는 것 보다 서로 배려하는 꼬뮨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 훨씬 좋아요.




훗날엔 유토피아 같은 현실 세계가 들어오기를
그러다가 신선한 충격을 준것이 바로 프랑스 애니메이션 "호야네 집" (까이유, Caille). 호야네 집에는 Standard한 가정이 나와요. 주인공 호야를 중심으로 할머니도, 할아버지도, 동생도, 옆집 아줌마도, 친구도 나오지요. 뭔가 결핍과 단절이 일어나지 않으면 에니메이션이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가, 한국 애니메이션에서 서로 배려하는 유토피아로도 얘기를 꾸려나갈 수 있게 됨을 본 후에, “어른과 아이의 관계”가 애니메이션의 주제가 될 수도 있음을 보고 정말 감탄했답니다. ‘어른과 아이의 관계 맺음’이 기본적으로 부재한 우리나라에서 전 정말 “호야네 집”을 배운다는 느낌으로 보았습니다. (치로와 친구들도 표준 5인가정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아이들 끼리의 꼬뮨이지 현실에서 어른과 아이의 관계가 그려지지는 않아요. 또 차이가 있다면 치로의 아빠는 TV를 보고 신문을 보며 멋진 말만 해대지만, 호야의 아빠는 세탁기에서 빨래를 꺼내며 호야에게 세탁기의 작동원리를 얘기해주죠)




구름빵.. 역시 엄마와 아빠의 성역할이 고정적으로 그려져 있고, 어른과 아이의 관계보다는 아이들끼리의 이야기가 주요 내용이 되지만, 어떻게 어른들이 효과적으로 아이의 삶을 지원하는지, 어떻게 아이의 삶을 아껴주는지가 나오는 것 같아요.

한국 가족에 … 볕들날 있는 거겠죠?



영진공 라이


























Posted by Nowhere_Man
,